9월 26일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에 관한 특별법’(이한 고준위 특별법) 시행을 앞두고, 산업통상자원부가 마련한 ‘시행령안’에 대한 주민의견 수렴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 29일 월성원전 인근 주민 300여 명이 모인 가운데 주민 설명회가 개최됐다.경주환경운동연합은 이날 주민설명회에 대해 “먼저, 형식적인 설명회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대다수 주민과 심지어 주민 대표까지 시행령안의 주요 내용을 숙지하지 못한 채, 내용과 동떨어진 질의가 이어졌다. 다른 지역은 몰라도 최소한 핵발전소 인접 지역에 대해서는 주민 대표들과 사전 숙의를 통해 내실 있게 준비했어야 했다. 핵발전 관련 설명회, 공청회 등 의견 수렴이 매번 형식적으로 진행되는 데 대한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우리는 핵발전 지역을 사실상 핵폐기장화하는 사용후핵연료 ‘부지내저장시설’ 건설을 포함하는 고준위 특별법에 대한 반대 의견을 일관되게 밝혀왔다”면서 법 시행이 코앞에 닥친 만큼 시행령안에 대해 의견을 밝혔다. 이날 주민설명회 내용은 “중저준위 방폐장 특별법 제18조 사용후핵연료의 관련 시설은 유치지역에 건설하여서는 아니된다”였다. 이는 월성원전에 추가 건설된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실인 ‘맥스터’의 불법성을 지적하는 내용이다.이와 관련, 주민들은 2020년 행정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맥스터가 방폐장 특별법 18조에서 건설을 금지한 ‘관련 시설’에 해당한다는 취지의 소송이다. 그러나 법원은 방폐장 특별법의 ‘관련 시설’이 아니라, 원자력안전법의 ‘관계 시설’이기 때문에 건설에 문제가 없다고 판결했다.경주환경련은 “여전히 판결을 수용하기 힘들지만, 현재 맥스터의 법적 지위는 ‘관계 시설’이다. 그러므로 고준위 특별법의 부지내저장시설 또한 ‘관계 시설’이다. 원자력안전법에 따른 관계 시설의 주민 의견 수렴 범위는 방사선비상계획구역(30km)이다”라고 강조했다.또 “시행령안은 부지내저장시설의 주민의견 수렴 범위를 고작 반경 5km로 설정했다. 주민의견 수렴 범위를 이렇게 축소한 것은 매우 큰 잘못이다. 주변지역에 대한 경제적 지원은 반경 5km에 국한하더라도, 주민의견 수렴은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을 적용해 광범위하게 해야만 한다”고 주장했다. 경주환경련은 “의견 수렴 방법도 주민들이 실질적인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해야만 한다. 설명회나 공청회 등은 매번 요식행위로 끝나고 있으며, 주민들의 권리도 상당히 제약받고 있다. 공론화를 적극 실시하고, 필요시 주민투표까지 열어놓아야 한다. 이것이 핵발전 정책으로 고통받는 주민들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다. 보상금으로 유무상의 피해를 해결할 수 없다. 실질적인 권리가 주어져야 한다”고 요구했다.
최종편집: 2025-08-04 13:55:56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제호 : 경주시대주소 : 경주시 탈해로 47번길 11(2층)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북, 아00707 등록(발행)일자 : 2022년 12월 19일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성주 청탁방지담당관 : 이성주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이성주e-mail : gjtimes62@naver.comTel : 054-746-3002 팩스 : 010-2535-3002
Copyright 경주시대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