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장애인 소득보장과 자립생활 안정 도모를 위해 힘을 보탠다.5일 시에 따르면 27억원 예산을 투입해 만 18세 이상 등록 장애인 199명에게 1년 동안 장애유형에 따라 다양한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한다.이 사업은 취업 취약계층인 장애인에게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참여 기회 확대와 일정 소득보장을 위한 지원책으로, 성공적인 자립생활을 위해 마련됐다.일자리 유형은 △일반형 일자리 △장애인 복지일자리 △시각장애인 안마사 파견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 등 4개 분야로 나뉜다.
일반형 일자리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및 사회복지시설 등 34개소에 71명이 배치돼 복지행정 업무를 보조하며, 전일제(주 40시간) 또는 시간제(20시간)로 운영된다.장애인 복지일자리는 장애인 복지시설, 공공기관 등 37개소에 114명이 배치돼 환경정비, 우편물 분류, 급식지원, 도서관 사서 보조업무를 수행하며, 주 14시간(월 56시간) 추진된다.시각장애인 안마사 파견은 특화형 일자리로 지역 경로당에 10명이 배치돼 어르신들에게 안마서비스를 제공하며, 주 25시간 운영된다. 특히 전신안마를 비롯해 마사지와 지압, 운동요법 등의 서비스도 제공한다.지역의 한 경로당 회장은 “안전하고 전문적인 안마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어르신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다”라며 “어르신들에게는 건강을 선물하고 시각장애인에게는 일자리 제공하는 이 사업이 더욱 확대됐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는 4명이 배치돼 식사를 돕고 야외 이동 지원 등 요양보호사의 전반적인 업무를 보조하며, 주 25시간 추진된다. 앞서 시는 지난해 11월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사)경북지체장애인협회 경주시지회(장애인 복지일자리) △(사)대한안마사협회 경북지부(시각장애인 안마사 파견) △(사)경북장애인부모회 경주시지부(발달장애인 요양보호사 보조일자리) 등 3개 단체를 공고 절차를 통해 수행기관으로 선정했다.시 관계자는 “근로가능한 장애인들의 소득보장과 자립생활 지원을 위해 장애유형에 맞는 일자리를 발굴해 제공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는 행정보조와 환경정비 등에 한정된 직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재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영역을 더욱 넓혀 나가겠다”고 말했다.한편 경주시는 2020년 124명(14억), 2021년 151명(18억), 2022년 177명(22억)의 장애인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