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이 주최하고 (사)한국문화유산활용단체연합회(회장 진병길)가 주관한 ‘2025년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 상반기 워크숍’이 지난 20일부터 21일까지(1박 2일간) 경주시 강동리조트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는 국가유산청 이은복 유산정책국장과 진병길 회장을 비롯한 250여 명의 지자체 공무원과 활용사업 수행 단체 등 관계자가 참석하여 국가유산 활용사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2008년 생생 국가유산 4개 사업으로 시작했던 우리 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은 2025년 현재, 생생 국가유산, 향교서원, 야행, 전통 산사, 고택종갓집 등 5개 분야의 355개 사업으로 성장했다.#국가유산 활용사업의 정책 방향과 협력 체계 강화이번 워크숍에서는 2025년도 국가유산 활용사업의 정책 방향과 운영 기준이 발표됐으며 우수 사례 및 미흡 사례를 공유하는 시간을 통해 사업의 일관성과 성과를 극대화할 방안을 논의하였다. 또 사업 운영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모니터링 계획도 발표됐다. 이은복 유산정책국장은 "국가유산청 체제가 출범하면서 국가유산의 관리나 활용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때가 되었다"며 "국가유산을 보존·관리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 재정적·정책적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질적 성장과 지속 가능한 국가유산 활용방안 논의진병길 회장은 “국가유산 활용프로그램의 양적 성장도 중요하지만,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이 더욱 필요한 시점”이라며 “(사)한국문화유산활용단체연합회는 창의적인 활용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사업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함께 협력하여 정책적·재정적 지원을 강화해 줄 것”을 요청했다.#미래 지향적 논의와 협력 네트워크 구축이번 워크숍에서는 참가자들이 조별 분임토의를 통해 국가유산 활용사업의 미래 방향을 논의했다. 논의된 내용은 발표 세션을 통해 공유되었다. 주요 논의 주제로는 △국가유산 활용사업의 중장기적 질적 성장 방향 모색, △사업별 정체성 확립을 위한 효과적인 컨설팅 방안, △공모 사업의 자생력 강화 및 신규 사업 진입 확대 방안, △광역지자체 역할 강화 방안,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 프로그램의 횟수 정량화 등이 다뤄졌다.
워크숍 참석자들은 “국가유산 활용의 지속 가능성과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면서 “우리 고장의 국가유산을 보다 가치 있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앞으로도 국가유산청과 (사)한국문화유산활용단체연합회는 국가유산 활용사업의 발전과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해 협력을 지속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