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의회 청렴도 심각하다 경주시의회 청렴도가 3등급에 그쳐 자정 노력이 시급히 요구된다. 국민권익위원회가 4일 발표한 광역의회 17개, 기초시의회 75개 등 총 92개 지방의회에 대한 2023년도 청렴도 평가에서 경주시의회는 부끄럽게도 청렴체감도 3등급, 청렴노력 4등급으로 종합청렴도 3등급 받았다. 반면에 경북도의회는 17개 광역의회 중 유일하게 종합청렴도 1등급을 받아 깨끗하고 모범적인 의회로 평가받아 경주시의회와 대조적이었다. 국민권익위는 측정 항목을 ▲의정활동 13개 항목 ▲의회운영 5개 항목으로 측정했다. 국민권익위의 이번 지방의회 종합청렴도 평가 결과, 총점 68.5점으로 행정기관·공직유관단체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나 지방의회의 폐쇄성이 우려된다. 의정활동 과정에서는 지방자치단체 공직자와 산하기관 임직원 등 100명 중 15명이 부패·갑질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종합청렴도 평가는 ▲지역주민 2만명, 직무관련 공직자 7000명, 단체 ‧ 전문가 7000명 등 총 3만4000명의 설문조사 결과(청렴체감도) ▲각급 의회에서 1년간 추진한 부패방지 노력 평가 결과(청렴노력도) ▲기관의 부패사건 발생 현황을 합산해 지방의회 청렴 수준을 종합적으로 진단했다. 경주시의회는 청렴체감도 3등급, 청렴노력도 4등급을 받아 부패방지 노력도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주시의회는 지방자치단체 공직자 ‧ 산하기관 임직원 ‧ 의회 사무처 공직자 등이 직접 경험한 부패 경험률에서 ▲인사 관련 금품 등 1.52% ▲의정 관련 금품 등 2.02% ▲미정보 공개요구 8.82% ▲심의의결 개입 압력 7.35% ▲부당한 업무처리요구 10.29% ▲계약업체 선정 관여 등 13.64% 등으로 합계 14.14%로 100명 중 14명이 부패와 갑질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권익위는 올해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지방의회의 청렴 수준이 특히 낮게 평가된 점에 주목해 ‘지방의회 반부패 특별 대책’을 마련해 즉시 시행할 계획이라고 한다. 국민권익위 정승윤 위원장 직무대리는 “국민 생활의 밀접한 지점에서 발생하는 지방 토착 카르텔형 부패가 획기적으로 개선될 때까지 정부는 모든 반부패 역량을 총동원할 계획”이라며 칼을 빼 들었다. 지방의회는 민의의 전당이다. 경주시의회는 경주시민의 권한을 위임받아 예산심사, 조례제정, 시정질문 등을 통해 집행부를 견제하고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역할을 해야 하는 대의기구이다. 경주시의회 청렴도가 각각의 항목에서 좋지 않게 평가된 것은 시의원들이 주어진 권한을 사유화하는 특권의식에 사로잡혀 있다는 것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지방자치시대 자치단체와 의회의 청렴도는 곧 시민의 자존심과 직결된다. 경주시의회는 자정 노력을 통해 청렴도를 높여 시민들로부터 존중받은 의회가 되길 기대한다.